댓글 최적화 도전기(2) - 도메인 이벤트 소싱 모델
·
Backend
지난 번에는 댓글을 n depth 댓글도 허용하는 구조로 변경해보았다. 댓글 최적화 도전기커넥티스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게시판의 댓글과 대댓글에 대해서 고민했다. 처음에는 댓글 테이블, 대댓글 테이블 따로 구현했는데, 댓글과 대댓글이 과연 분리되어야 하는 엔티티인가에hyogu.tistory.com 이때 발생했던 애로사항이 도메인에서는 트리 구조의 댓글을 사용하는데 디비에서는 그렇지 않다는게 문제였고,만약 읽기 쿼리와 쓰기 쿼리를 통일화 한다면 댓글의 depth를 기준으로 페이징 처리를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 디비에서 값을 가져올 때는 읽기 전용 쿼리를 사용하여서 클라이언트에서 트리 구조를 적용하였다. ⇒ 읽기/쓰기 쿼리를 통일화 하지 못한다면, 결국 도메인은 트리 구조로 관리되어야 할..